https://www.acmicpc.net/problem/10828
문제 :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 push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
- pop: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size: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empty: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top: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솔루션 :
처음에 명령어 개수 숫자 받고
각 기능 if문으로 받아 출력한다. (def로 정의해도 되는 듯)
🌟 중요 포인트는 int(input())으로 받으면 런타임 에러가 난다는 것. sys.stdin.readline()을 활용해야 하며, 그 중에서도 우린 리스트 형태를 반복적으로 받기 때문에 sys.stdin.readline.split() 까지 넣어 입력 받은 것들을 int로 형변환 해주어야 한다.
참고한 블로그는 여기
⬇️
[Python 문법] 파이썬 입력 받기(sys.stdin.readline)
파이썬으로 코딩 테스트를 준비한다면, 반드시 알아야 할 입력방식인 sys.stdin.readline()에 대한 정리 입니다.
velog.io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stack=[]
for i in range(n):
command = sys.stdin.readline().split()
if command[0]=='push':
stack.append(command[1])
elif command[0]=='pop':
if len(stack)==0:
print(-1)
else:
print(stack.pop())
elif command[0] == 'size':
print(len(stack))
elif command[0] == 'empty':
if len(stack)==0:
print(1)
else:
print(0)
elif command[0] == 'top':
if len(stack)==0:
print(-1)
else:
print(stack[-1])
'👩💻 알고리즘 >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902번 (0) | 2024.07.10 |
---|---|
[스택 예제] 백준 9012번 (0) | 2024.07.07 |
[스택 예제] 백준 10773번 (0) | 2024.07.07 |
배열을 numpy로 변환 (0) | 2023.09.19 |
arange 함수 (0) | 2023.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