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e의 접근성 기능을 사용하여 자신에게 맞는 방식으로 기기와 상호 작용하는 방법을 개인화하게 한다.
앱 또는 게임에 접근성 개인화를 지원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
능력 또는 기기 사용 방식과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훌륭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약 일곱 명 중 한 명은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낙상으로 인한 손목 손상이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목소리 상실과 같은 상황 장애는 거의 모든 사람이 기기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접근성을 고려하여 디자인하라. 접근성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능력이나 상황과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접근성을 고려하여 앱을 디자인하는 것은 단순함과 인지 가능성을 우선시하고 모든 디자인 결정을 검토하여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나 다른 방식으로 기기와 상호 작용하는 사람들을 배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1. 간결함 - 복잡한 작업을 간단하고 명료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익숙하고 일관된 상호 작용을 지원하라.
2. 인지가능성 - 모든 콘텐츠가 시각, 청각 또는 촉감을 사용하는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에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라.
3. 개인화 - 이미 환경 변화에 적응하도록 경험을 디자인하고 있으므로 기기 방향, 디스플레이 크기, 해상도, 색 색상 및 분할 뷰와 같은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설계하라.
4. 접근성을 위해 앱이나 게임을 감사하고 테스트하라. - 앱이나 게임의 각 중요한 사용자 흐름에 대해 VoiceOver, Reduce Motion 또는 Large Text Size와 같은 접근성 기능을 켜고 흐름의 모든 작업을 어려움없이 완료할 수 있는지 확인하라.
제스처
1. 플랫폼 제스처를 무시하지 마라.
2. 일반적인 상호 작용을 위해 단순화된 제스처를 사용하라. 가능한 가장 간단한 제스처를 사용하라.
3. 제스처 기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대체 방법을 제공하라. 특정 제스처를 수행할 수 없는 사용자를 위한 옵션을 포함하라.
4. 가능한 경우, 한 가지 이상의 물리적 상호 작용을 통해 앱의 핵심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라.
5. 사용자 지정 제스처를 정의하는 경우 사용자가 앱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제공하는 보조 기술을 지원하라. 6. iOS 또는 iPadOS 앱에서 드래그 앤 드롭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라.
버튼 & 컨트롤
1. 모든 컨트롤과 대화형 요소가 충분히 큰 크기여야 한다. 터치스크린 장치에서는 대상이 최소 44x44 pt 여야 한다. 비전OS에서는 중심이 최소 60 pt 떨어져 있도록 컨트롤을 배치해야한다.
2. 사용자 지정 요소의 접근성을 특성화해야 한다.
3. 일관된 스타일의 계층 구조를 사용하여 단추의 상대적 중요성을 전달할 수 있다.
4.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스위치 구성 요소를 선호하자.
5. 링크에 밑줄과 같은 색상 외에 시각적 표시자를 주는 것을 고려하라.
'🎨 UX U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개념과 이해 (0) | 2023.11.12 |
---|---|
사용자경험(UX)의 개념과 이해 (0) | 2023.10.03 |
스터디 5주차 (0) | 2023.08.13 |
스터디 3주차 (0) | 2023.08.13 |
스터디 2주차 (0) | 2023.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