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상호작용에 대해 이해하기
</aside>
- 경험을 구성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 interaction
상호작용의 정의
- 경험을 만드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
- 인터렉션이 바뀌면, 사용자가 하는 경험도 달라짐.
- 인터렉션은 한 행동의 집합의 엑티비티
- 표명 → 변환 → 표현 → 평가 가 기본적인 인터렉션의 원 사이클. 이 사이클들이 모여 경험이 됨.
- 표명
- 자신의 의사를 표명하며 시스템에 접근하는 단계
- 생각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액션을 취하는 것까지가 표명 단계임.
- EX ) ‘나 (—)하고 싶어’, ‘나 엄마한테 전화하고 싶어.’
- 변환
- 사용자가 행동하는 단계
- 시스템이 알아들을 수 있는 행위로 변환되는 단계
- EX ) 전화 기록부의 즐겨찾기에 들어가서 엄마라는 아이템을 눌렀다.
- 표현
- 사람이 인식할 수 있게 시스템이 표현해주는 단계
- EX ) 스마트폰이 사용자에게 엄마라는 아이템으로 전화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 평가
- 화면을 보면서 사용자가 자신의 행위를 깨닫는 단계
상호작용의 종류
<기준>
1️⃣ 주고 받는 내용을 누가 만들고, 주도권을 가지느냐?
2️⃣ 주고 받는 내용을 누가 전달하고, 주도권을 가지느냐?
<1> 전송형
- 사용자는 주도권이 없음.
- 내용을 받는 것도, 만드는 것도 제공자가 주도권을 가짐.
- EX ) CNN.COM
<2> 등록형
- 내용은 사용자가 만들지만, 전달은 제공자가 주도권을 가짐.
- EX ) EBAY
<3> 문의형
- 내용은 제공자가, 전달은 사용자가 주도권을 가짐.
- EX ) 일반적인 웹사이트들
<4> 대화형
- 내용과 전달 모두 사용자가 주도권을 가짐.
- EX ) 트위터
⇒ 2013년 기준, 대화형이 가장 많고 추세도 그러하다.
상호작용성
- 시스템과 사용자가 서로에게 얼마나 영향을 미치느냐?
<1> 상호성
- 시스템과 사용자 사이에 신호가 왔다갔다 하면서, 서로에게 요청한 게 전달됐는지에 대한 것.
- 가장 기초적인 차원
<2> 반응성
- 요청과, 요청에 대한 응답이 얼마나 유효하냐? (=요청과 응답이 알맞게 짝을 이루느냐?)
<3> 신속성
- 요청과, 요청에 대한 응답이 얼마나 빠르게 전달되느냐?
<4> 다중성
- 한 번에 얼마나 다양한 요청이 가고, 그 요청에 대한 응답을 얼마나 다양하게 할 수 있느냐?
<5> 통제성
- 내가 상대방의 내용이나 시간을 내 마음대로 컨트롤 할 수 있느냐?
- 인터넷 신문의 내용을 바꿀 수 있다면, 통제성이 큰 것임.
⇒ 사용자들은 점점 더 높은 상호작용성을 원하고 있다.
상호작용의 행위와 상호작용 스타일
- 사용하는 게 목적이 아니라, 사용해서 무언가를 하려는 것. (ex : 게임, 서치엔진)
<지시하기와 명령어 스타일>
- 지하철 발권기, 프로그램 명령기
<이야기하기와 대화형 스타일>
- 양식형 스타일, 자연어 기반 검색 서비스
<탐색하기와 메뉴 스타일>
- 브라우징
- 가장 많이 사용
<조작하기와 직조작 스타일>
- 아바타 조작, 이퀄라이저
- 어떤 조작을 가하면, 조작을 가한 내용이 눈에 보임.
<위임하기와 지능형 대리인 스타일>
- 자동 바이러스 검사
<혼합형 스타일>
-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타일. 한 스타일만 사용하지 않음. 혼합해서 사용함.
- 서비스(프로덕트)를 만들 때, A 구역에는 어떤 스타일, B 구역에는 어떤 스타일을 줘야 사용자에게 좋은 경험을 전해줄 수 있을지 고민해봐야 함.
🔨후기
<1> 프로덕트 선택, 배운 내용 위주로 분석
프로덕트 : 지그재그
→ 탐색하기
→ 구매하기 버튼을 누르면 구매 창으로 넘어가는 지시하기
→위임하기와 지능형 대리인 스타일
<2> 더 알아보고 싶은 부분
왜 네이버의 메인창이 다음의 메인창보다 나에게 더 보기 편하게 느껴질까?
상호작용과 연관이 있을까?